메뉴 건너뛰기

지역자산화협동조합의 소통창구로서 발빠른 소식과 활동가 경험을 나눕니다.
활동가 이야기
2024.10.28 15:07

공공미술은 누구에게로 가는가

조회 수 32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공공미술은 누구에게로 가는가

고흥군 취도-금사항 어촌신활력앵커조직 전표석팀장

 

 

 

 공공미술의 사전적 정의는 공공의 장소에 놓이는 미술이다. 관계 법령에 의한 공공미술은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을 신, 증축할 경우 도시문화 환경 개선 등을 위해 건축 비용의 일부를 사용해 설치해야 하는 미술작품으로 규정하고 있다.

 

 

 

[크기변환]FUJI9563.jpg

[순천만 국가정원]

 

[크기변환]FUJI9514.jpg

[녹동 썬비치호텔]

 

 위와 같은 조형물은 인물이나 신화적 인물의 전신상 형태로 제작되었고 미적 가치가 있는 오브제로서 공간의 상징성을 갖고 있다. 가장 흔하고 대중의 관심도가 높은 유형으로 별다른 고민 없이 설치가 가능한 조형물이다.

 

 

 

 

[크기변환]FUJI9505.jpg

[녹동 장어거리]

 

[크기변환]FUJI9503.jpg

[녹동 장어거리]

 

 

 

[크기변환]FUJI9504.jpg

[녹동 음식거리]

 

[크기변환]FUJI9513.jpg

[녹동 음식거리]

 

 위의 조형물들은 간판에 가까운 형태로 제작되었고 같은 장소 반경 10m 내에 배치되어 있다. 주차장에 차를 주차하고 내려 걷다 보면 1분 안에 상징성이 매우 짙고, 다양한 색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음식거리장어거리를 동시에 만날 수 있다. 공간 조성이라는 명목으로 사방에 알록달록 색칠된 조형물들이 즐비해 있으며 군민 편의를 위한 시설물을 조형물 바로 앞에 조성해 방치되어 있는 느낌까지 든다.

 

 

 

 

[크기변환]FUJI9509.jpg

[감성돔이 많이 잡히는 고흥 바다를 상징하는 '감성돔 포토존']

 

[크기변환]FUJI9512.jpg

[섬의 모양이 어린 사슴과 같다하여 '소록도 사슴 포토존']

 

 관광 인프라 조성을 위해 야심찬 계획과 함께 유명 작가와 협업하여 테마파크 형태의 공간 조성을 하기도 한다. 많은 지자체에서 시도하려고 하고 또 실행되었다. 내가 이 공간에 머무는 동안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다녀갔지만 포토존의 역할을 하는 두 공간은 쓸쓸하기만 했다. 문화적 참여 동기 부여가 결여되어 있었고 차가운 금속에 광까지 낸 조형물은 미관을 해치고 난해하기까지 했다. 공공미술을 어쩌면 장식으로 바라보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환경 미화’, ‘시설물 개선등의 시각으로 접근하다 보니 공공성 실현과는 점점 거리가 멀어진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공공성의 실현은 무엇이고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

객관적 이해일까 특정된 관심일까.

 

 공공성의 실현을 위해선 대중의 참여를 통해 공공미술을 완성해야 한다. 공간의 물리적, 문화적, 사회적인 맥락으로 접근해야 하며 목적과 방법을 토론, 합의와 조율을 통해야 한다. ‘창의적 개입과 대중의 참여를 통한 상호작용이 필요한 실정이다. 공간에 미적인 가치가 있는 조형물을 가져다 두는 것으로 끝내는게 아니라, 공동체를 주목하고 지켜보며 공간의 주체인 그들과 함께 대중의 삶에 참여하고 개입해 울림을 가져다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물리적인 점에서 벗어나 공공의 주체인 대중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 실천적인 행위로서의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공동체와 소통하고자 하는 태도에 기반한 문화적인 조사 아래,

공간의 주체인 '그들(공동체)'과 함께 대중의 관심을 헤아리며

대중을 위한 무대를 만드는 마음 아래

융합이 이루어질 수 있지 않을까.

?

  1. 공공미술은 누구에게로 가는가

    공공미술은 누구에게로 가는가 고흥군 취도-금사항 어촌신활력앵커조직 전표석팀장 공공미술의 사전적 정의는 ‘공공의 장소에 놓이는 미술’이다. 관계 법령에 의한 공공미술은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을 신, 증축할 경우 도시문화 환경 개선 등을 위해 건축 비용의 일부를 사용해 설치해야 하는 미술작품’으로 규정하고 있...
    Date2024.10.28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328
    Read More
  2. 죽도에서의 하룻밤 체험, '죽도야행(夜行)

    아름다운 죽도의 야경 죽도 가는 길(지죽도 선착장) 지역자산화협동조합은 2024년부터 2027년까지 약 4년 간 지죽도-죽도 어촌 신활력사업을 진행합니다. 인구소멸 등으로 쇠퇴하는 지죽도-죽도를 활성화하기 위해 현재 정숙현 현장소장님 포함 6명(4명 상근, 2명 비상근)이 현장 사무소(앵커조직)에 근무 중입니다. 9월 10...
    Date2024.09.26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321
    Read More
  3. 고흥 취도-금사항 앵커조직 채용 면접심사 결과

    어촌신활력증진사업 고흥군 취도-금사항 어촌앵커조직 2024년 직원채용 면접심사 결과 공지 연변 성명 확인(휴대폰 뒷번호) 결과 1 전OO 5700 합격 2 공OO 3531 예비1 3 이OO 3586 예비2 취도-금사항 어촌앵커조직 직원채용 면접심사 결과를 위와 같이 공고합니다. * 합격자 중 입사포기, (3개월 내) 중도퇴사 인원 발생시 ...
    Date2024.09.09 Category공지 By관리자 Views291
    Read More
  4. 인구감소 지역의 청년은 주거비 부담에 짓눌려 있습니다.

    인구감소 지역의 청년은 주거비 부담에 짓눌려 있습니다. - 2024년 8월, 장흥군 국토부 일자리 연계형 지원주택 사업 선정에 붙임 - 남철관(지역자산화협동조합 이사장) 지방의 중소도시나 군(郡)지역에 살아 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대체로 급격한 인구감소와 고령화에 직면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인구 10만 이하의 작은 지...
    Date2024.09.09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323
    Read More
  5. 섬, 여행지에서 일터로

    섬, 여행지에서 일터로 지역자산화협동조합 팀장 안은성 어른이 된 후 가족들과 함께, 때론 혼자 여행지를 선택할 때마다 1순위 후보지는 항상 바다였다. 동해 바다를 보고 싶을 때는 강릉으로, 기차 여행을 하고 싶을 때는 부산으로, 비행기를 타고 멀리 가고 싶을 때는 제주도로. 그렇게 집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한 눈...
    Date2024.08.26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319
    Read More
  6. 지역자산화협동조합의 어제와 오늘

    지역자산화협동조합은 2017년 07월 나눔과미래 시민자산화팀으로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나눔과미래가 오래전부터 지역주민들의 터전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시도한 지속가능한 공동체 활동의 연장으로 시민자산화 구현을 시도해 보자는 결심이었습니다. 햇수로 5년 자산화를 확산하기 위한 노력을 나눔과미래라는 울...
    Date2024.08.22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291
    Read More
  7. 활동가 인터뷰_ 어쩌다 고흥

    활동가 인터뷰_어쩌다 고흥 고흥군 지죽도-죽도 어촌신활력증진사업 앵커조직 손용훈 H: 안녕하세요. 간단히 자기 소개 부탁드립니다. S: 안녕하세요. 10여년간 해외에서의 생활을 마치고, 2024년 5월부터 지죽도-죽도 지역에서 앵커조직으로 근무하게 된 손용훈입니다. 지죽도-죽도는 전라남도 고흥군 남쪽에 위치해 있는 ...
    Date2024.08.21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300
    Read More
  8. 역치(閾値)가 생기질 않는다.

    역치(閾値)가 생기질 않는다. 고흥군 취도-금사항 어촌신활력앵커조직 류민수팀장 어르신들이 이른 아침부터 마을회관에 모이셨다. 보통 점심을 집에서 드시고 나서야, 한두 분씩 회관으로 오시는데, 무슨 일이 생긴 게 틀림없다. 여쭤보니 밤새 어르신 한 분이 돌아가셨다고 한다. 향 년 백여섯 세의 나이셨으니, 천수를 누...
    Date2024.08.19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295
    Read More
  9. [2024년 사회적경제조직의 공간력 UP!]아카데미 ‘심화과정’ 수강생 모집

    사회적부동산을 이용하는 당사자들이 사회적부동산의 주인이 되기 위한 준비! √ 교육 대상 • 공간 비즈니스(자산화) 사업에 관심있는 분 • 협동조합 관계자(임직원, 조합원, 설립준비자)와 사회적경제조직, 시민단체 우선 √ 교육 특징 • 사례 학습을 통한 개발 전략 수립 • 강의+토의를 통한 나의 사업계획서 빌드업 • 사업...
    Date2024.08.12 Category공지 By관리자 Views40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