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역자산화협동조합의 소통창구로서 발빠른 소식과 활동가 경험을 나눕니다.
조회 수 9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지역자산화협동조합, 섬에 대한 고민을 더합니다.

 

따뜻한 바람이 시작될 참입니다.

지역자산화협동조합은 새로운 사업을 발굴하기 위해 서해와 남해의 섬들을 다녀왔습니다.

태안과 보령 그리고 군산의 서해 섬들, 여수 인근의 남해 섬들을 돌아봤습니다. 같은 듯 다른 바다의 풍경과 그 속에서 살아가는 주민들의 삶을 들여다보았습니다.

 

어떤 섬은 따뜻했고, 어떤 섬은 다채로웠습니다. 또 어떤 섬은 활기찼고, 어떤 섬은 고요했습니다. 각기 다른 색깔을 지닌 섬들은 그들만의 풍경과 이야기를 품고 있었습니다. 바닷바람에 깎인 절벽, 부드러운 백사장, 오래된 마을의 골목길에서 세월의 흔적이 묻어났습니다.

 

 

1_ 여수시 개도 바다 전경.jpg

[사진1. 여수시 개도에서 바라본 바다 전경]

 

우리나라에는 유·무인도를 포함해 총 3,348개의 섬이 있습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의 조사에 따르면, 이중 유인도는 472입니다. 인도네시아, 필리핀, 일본에 이어 세계에서 네 번째로 섬이 많은 나라입니다. 반면 정책적 관리는 여전히 미흡합니다. 섬과 관련된 정책들이 해양수산부, 문화체육관광부, 행정안전부 등 여러 부처에 분산되어 있어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습니다.

 

 3_홍성군 죽도 트레킹 코스.jpg

[사진2. 홍성군 죽도 트레킹 코스]

 

최근 섬에 대한 관심이 늘어 관광 활성화, 정주여건 개선, 인구 유입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추진하고 고민하고 있지만 여전히 섬들은 고령화의 흐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고향을 떠나 도시로 향했던 사람들이 다시 귀어(歸漁)를 선택하지 않는 한, 외지인들이 섬으로 이주하는 경우는 흔치 않습니다.

 

더불어 기후변화는 바다를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해역별 어획량이 바뀌고, 이상기후로 어획량이 급감하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어민들의 생계와 직결된 수산물 축제는 수급량 감소로 인해 규모가 축소되거나 아예 취소되기도 합니다. 바다가 변하면 바다와 더불어 살아가는 섬 주민들의 삶도 변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제 우리는 섬이 직면한 현실을 진단하고 지역사회에 맞는 적절한 사업을 발굴하고 추진해야 합니다. 섬 관련 정책을 부처별로 통합하여 종합적인 마스터플랜을 수립해야 합니다. 낙후된 정주여건을 개선하여 섬 주민들의 생활편의를 높이고, 섬이 가진 독특한 자연자원과 문화자원을 보존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입니다. 단기적인 관광객 유치 정책을 넘어서, 섬이 지닌 가치를 재발견하고, 지속 가능한 지역 공동체를 만드는 것이 필요합니다.

 

2_여수시 하화도섬 돌담 벽화.jpg

[사진3. 여수시 하화도 돌담 물고기 벽화]

 

섬의 소멸은 단순한 인구 감소 문제가 아닙니다. 그것은 한 시대의 기억이 사라지고, 한 지역의 문화와 자연이 소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섬을 지키는 일은 단순한 정책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가 함께 고민하고 해결해야 할 공동의 과제입니다.

 

봄이 오고 있습니다. 이 봄이 섬들에게도 새로운 시작이 될 수 있도록, 우리는 섬을 위한 더 깊은 고민과 실천을 이어가야 합니다.

 

 

-지역자산화협동조합 양선혜-

 

?

  1. 효율적 업무 체계 구축을 위한 , 챗GPT 실전 활용 교육 후기

    지역자산화협동조합 활동가 안은성 1회차 수업: 챗GPT, 어렵지 않네? 2회에 걸친 챗GPT 교육은 지역자산화협동조합의 이사님이신 김철환 소장님(적정마케팅연구소)이 진행해주셨습니다. 3시간 동안 진행된 교육은 딱딱한 이론이 아니라, 직접 써보고 바로 느끼는 실습형 수업이었어요. ChatGPT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사람이 ...
    Date2025.04.28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1
    Read More
  2. 활동가의 언어

    어촌신활력증진사업 지죽도-죽도 어촌앵커조직 활동가 전혜인 고흥에 온 지 어느덧 한 달째. 이렇게 빨리 적응해도 되는 걸까 싶을 정도로, 어느새 ‘고며들었다’. 한 달 동안 몇 번이나 울었는지는 세어보지 않았지만, 수시로 흐르는 눈물을 닦는 일이 꽤나 버거웠다. 적응을 잘하고 있음에도 왜 울었냐고 묻는다면, 이 따뜻...
    Date2025.04.25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4
    Read More
  3. 천천히, 마을과 나 사이에 놓인 시간을 걷는 중입니다.

    어촌신활력증진사업 취도금사항 어촌앵커조직 활동가 송마리아 시작은 바다를 향한 마음에서 ‘바다 근처에서 살고 싶다’는 단순한 바람이 내 삶을 이끌었다. 도시의 숨 가쁜 리듬을 벗어나 시골 라이프의 여유를 누리고 싶었다. 그렇게 나는 취도–금사항 어촌앵커조직에 들어오게 되었고, 마을로 이주하게 되었다. 사진 출처...
    Date2025.04.24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3
    Read More
  4. 2025년 정기총회 후기

    2025년 지역자산화협동조합 정기총회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번 정기총회는 온라인으로 총회에 참석해주신 조합원분들도 계셔서 실시간으로 채팅창을 활용하여 총회를 진행하였습니다. 정기총회 이모저모 이번 정기총회에서는 일터로서 과업을 수행하는 것뿐 아니라 삶의 터전으로 일구어갈 수 있는 방안과 비전을 나누기도 했...
    Date2025.04.01 By관리자 Views30
    Read More
  5. 지역자산화협동조합, 섬에 대한 고민을 더합니다.

    지역자산화협동조합, 섬에 대한 고민을 더합니다. 따뜻한 바람이 시작될 참입니다. 지역자산화협동조합은 새로운 사업을 발굴하기 위해 서해와 남해의 섬들을 다녀왔습니다. 태안과 보령 그리고 군산의 서해 섬들, 여수 인근의 남해 섬들을 돌아봤습니다. 같은 듯 다른 바다의 풍경과 그 속에서 살아가는 주민들의 삶을 들여...
    Date2025.02.27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96
    Read More
  6. 고흥 지죽도-죽도항 앵커조직 채용 면접심사 결과

    어촌신활력증진사업 고흥군 지죽-죽도항 어촌앵커조직 2025년 직원채용 면접심사 결과 공지 연변 성명 확인(휴대폰 뒷번호) 결과 1 전O인 4248 합격 2 정O영 3830 합격 3 황O훈 3512 예비1 지죽-죽도항 어촌앵커조직 직원채용 면접심사 결과를 위와 같이 공고합니다. * 합격자 중 입사포기, (3개월 내) 중도퇴사 인원 발생시...
    Date2025.02.26 Category공지 By관리자 Views187
    Read More
  7. 2025년 지역자산화협동조합 정기총회 공고

    • 참석확인&위임장 작성 링크 : https://forms.gle/feyzfBSQPUGePBEB9
    Date2025.02.21 Category공지 By관리자 Views75
    Read More
  8. 25년 1차 지역자산화협동조합 이사회 후기

    2025년 2월 19일 지역자산화협동조합 25년 1차 이사회가 2월19일 있었습니다. 이사한 공간에서 첫 이사회에요! 작년엔 사무실 인근 회의실을 대관해서 했던 기억이 나네요~ 24년 사업 결과에 대한 평가와 25년 사업 계획에 대한 논의를 나누었습니다. 24년 고흥군 취도금사항 어촌신활력증진사업 사업지에 빈집을 무상임대해...
    Date2025.02.21 By관리자 Views39
    Read More
  9. 2025년 제1차 지역자산화협동조합 이사회 공고

    2025년 지역자산화협동조합 이사회를 개최합니다. 많은 참석 부탁드립니다!
    Date2025.02.03 By관리자 Views3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