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역자산화협동조합의 소통창구로서 발빠른 소식과 활동가 경험을 나눕니다.
활동가 이야기
2025.04.25 15:16

활동가의 언어

조회 수 6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어촌신활력증진사업 지죽도-죽도 어촌앵커조직

활동가 전혜인

image.png

 

고흥에 온 지 어느덧 한 달째.
이렇게 빨리 적응해도 되는 걸까 싶을 정도로, 어느새 ‘고며들었다’.

한 달 동안 몇 번이나 울었는지는 세어보지 않았지만, 수시로 흐르는 눈물을 닦는 일이 꽤나 버거웠다.
적응을 잘하고 있음에도 왜 울었냐고 묻는다면, 이 따뜻한 고장의 사람들이 그 이유라고 말하고 싶다.

 

마을에 적응해가며 본부와도 소통하게 되었는데, 올해 활동가 에세이를 두 번 작성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활동가라…… 내 정체성을 활동가로 규정지을 수 있을까?’
그 ‘활동가’라는 이름을 지우는 데만도 십여 년이 걸렸는데, 다시 활동가가 되어야 한다니!

함께 입사한 동기 팀장님에게 조심스레 물었다.
“스스로를 활동가라고 생각하시나요? 저는 그게 고민이에요. ‘활동가’라는 단어가 주는 무게감 때문에요.”
그러자 동기 팀장님은 환한 얼굴로 이렇게 답하셨다.
“혜인 팀장님, 스스로의 정체성으로 활동을 시작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나는 활동가라는 단어의 무게 때문에, 오히려 그 단어를 멀리하고 있었던 것 같다.

아마도 그 단어를 멀리한 건, 나의 첫 커리어 때문이었을 것이다.


2011년, 부산의 한 마을에서 마을만들기 활동가로 커리어를 시작했다.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도 모른 채, 혼자 ‘사랑방’이라는 공간에 덩그러니 떨어져
마을 주민들과 밥상 모임을 하고, 아이들과 영화를 만들고, 작은 도서관을 운영하며,
마을의 온갖 잡다한 일들을 해냈다. 혼자서.
그 속에서 여러 의문들이 고개를 들기 시작했다.

‘내가 하는 이 활동들이 정말 마을 주민들에게 어떤 영향을 줄 수 있을까?’
‘재개발이라는 시대의 흐름을 막을 수 없을 텐데, 이분들의 삶은 어떻게 되는 걸까?’
‘그 안에서 나는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

점점 무거워지는 마음들이 나를 짓눌렀고, 결국 2년 후 나는 활동가의 삶을 내려놓았다.

그런데 15년이 흐른 지금, 다시 활동가가 되었다.

 

그 시절의 미숙함에서는 어느 정도 벗어났지만, 여전히 고민은 많다.

그러다 문득, 고흥에서 보낸 이 한 달의 시간이 나에게 뜻밖의 배움이 되어주었다.
내가 다시 ‘활동가’라는 이름을 받아들이고, 또 앞으로 어떤 언어로 사람들과 만나야 할지를 가르쳐준 시간이었다.

고흥의 사람들은 조용하고도 깊은 방식으로 다가와 마음을 건넨다.
처음 인상 깊었던 건 버스 기사님이었다.
버스 안에서 어르신들에게 먼저 말을 걸고, 안부를 묻고, 농담을 주고받는 모습이 무척 인상적이었다.
그건 단순한 친절이나 예의가 아니었다.
삶의 리듬 속에 스며든 따뜻함, 사람을 향한 따스한 관심이었다.

 

그리고 어느 날,  낯선 길에서 작은 접촉사고가 났다.
순간 당황스러움과 걱정이 밀려왔지만, 포크레인 기사님은 먼저 내 걱정을 덜어주는 말을 건네셨다.
“괜찮아요, 내딸도 운전을 하고 다녀. 딸같아서 마음이 더 쓰이네?”
그 다정한 한마디에 마음이 덜컥 무너지는 듯하면서도 다시 힘이 났다.
부산이었다면 큰소리부터 났을 텐데, 고흥에서는 마음부터 살펴주는 말이 먼저였다.

 

잊을 수 없는 건, 할머님들의 환대다.
어디를 가든, 손을 잡아주시고 웃어주셨다.
“아따 내딸 왔능가?”, “커피 한잔 먹고가?”, “키도 크고 너무 예쁜 거~”
이렇게 진심 어린 말들로 맞아주시는 따뜻한 손길.
내가 언제 이렇게 낯선 곳에서 환대를 받아본 적이 있었던가 싶었다.

 

나는 이곳 고흥에서, 비로소 활동가로서 내가 어떤 언어를 사용해야 할지를 알게 되었다.
갈등 상황에서도 상대방의 감정을 먼저 헤아리는 것.
용건부터 묻기보다는, 진심으로 안부를 묻는 것.
정해진 형식이나 사업의 언어가 아니라, 사람을 향한 말, 마음을 두드리는 언어로.

 

‘활동’보다 먼저 ‘사람’을 보고, ‘성과’보다 먼저 ‘마음’을 듣는 것.

그것이 고흥에서 내가 배운 활동가의 언어다.

?

  1. [채용공고]로컬비즈니스 분야 직원 채용 공고

    직원 채용 공고 지역자산화협동조합은 지속 가능한 공간과 활동을 창출하고, 지역사회와 함께 호흡하며 주민들이 안정적으로 일하며 살 수 있는 터전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어촌마을 주민의 생활여건을 개선하고 지역 자원을 기반으로 콘텐츠와 브랜드를 함께 만들어 나가는 해양수산부 어촌신활력증진사업 및 행정안전부 섬...
    Date2025.08.26 Category공지 By관리자 Views75
    Read More
  2. 앵커아가씨가 그날밤 눈물을 펑펑 흘린 이유는?

    어릴때부터 “너는 왜 그렇게 차갑냐”는 말을 자주 들었다. 실제로 잘 울지도 않았다. 수련회 때 엄마보고 싶다고 친구들이 울고 있으면 눈만 말똥말똥 뜨고 두리번거렸다. 그런데 고흥에 내려오고 나서는 자꾸 눈물이 난다. 감정이 풍부해진 건지, 이 고장의 사람들이 나를 따뜻하게 만든 건지 잘 모르겠다. 입사한 지 딱 5...
    Date2025.08.25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13
    Read More
  3. [채용공고] 고흥 지죽도-죽도 어촌앵커조직 단기근로자 채용

    어촌신활력증진사업 고흥군 지죽도-죽도 앵커조직 2025년 단기 상근인력 채용공고 바다와 사람을 잇는 현장에서 함께할 동료를 찾습니다. 고흥군 지죽도-죽도 앵커조직은 어촌신활력증진사업(해양수산부 사업)을 현장에서 상주하며, 지역과 사람을 연결하고 활성화하는 일을 합니다. 상근인력의 직무상 상병으로 인한 결원 ...
    Date2025.08.14 Category공지 By관리자 Views84
    Read More
  4. 꽃 섬, 하화의 봄

    꽃 섬, 하화의 봄 지역자산화협동조합 대표 남철관 때 이른 6월 더위가 익숙해 질만도 하건만 여전히 스쳐 지나간 짧았던 봄이 그리워집니다. 여수의 하화도에서 만났던 봄꽃이 생각나 더 그런가 봅니다. 하화는 걸어서 두세시간이면 돌아볼 수 있는 작은 섬입니다. 하지만 이름모를 풀과 돌 틈에 숨어있듯 피어 있는 꽃이 ...
    Date2025.06.13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40
    Read More
  5. 어촌에서의 삶, 한번 살아보시게요

    어촌에서의 삶, 한번 살아보시게요 고흥군 지죽도-죽도 어촌신활력증진사업 앵커조직 활동가 손용훈 어촌신활력증진사업 유형(2), 이 사업을 시작한 지도 벌써 1년이 넘었다. 2024년 5월 개소식을 기점으로 한 사이클을 돌았는데, 1년이 한 달처럼 느껴질 때도 있었고, 반대로 10년 같았던 순간도 있었다. 지죽도-죽도 같은 ...
    Date2025.06.12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61
    Read More
  6. 삶의 재배치, 고흥에서

    삶의 재배치, 고흥에서 어촌신활력증진사업 지죽도-죽도 어촌앵커조직 활동가 정희영 경계를 오가는 생활을 두 달째 하고 있다. 서울과 고흥. 고흥 안에서도 읍과 섬 사이. 서울에서 나고 자란 나는 지금 전라남도 고흥에서, 그것도 섬으로 향하는 길목에서 살고 있다. 섬으로 향하되 머무는 곳은 읍내, 마치 도시에 기대고 ...
    Date2025.05.30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65
    Read More
  7. 로컬의 날씨와 언어

    본격적인 어촌살이가 막 1년을 지났다. 운전을 하게 되고, 텃밭이 있는 마당이 생겼고, 토끼와 강아지를 키우게 되었으며, 계절에 따라 먹거리와 놀거리를 찾게 되었다는 점 등 돌이켜보면 많은 것이 달라졌지만, 그중 가장 큰 변화는 매일 아침 습관적으로 날씨를 검색하며 하루를 시작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바람의 세기와...
    Date2025.05.26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48
    Read More
  8. 효율적 업무 체계 구축을 위한 , 챗GPT 실전 활용 교육 후기

    지역자산화협동조합 활동가 안은성 1회차 수업: 챗GPT, 어렵지 않네? 2회에 걸친 챗GPT 교육은 지역자산화협동조합의 이사님이신 김철환 소장님(적정마케팅연구소)이 진행해주셨습니다. 3시간 동안 진행된 교육은 딱딱한 이론이 아니라, 직접 써보고 바로 느끼는 실습형 수업이었어요. ChatGPT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사람이 ...
    Date2025.04.28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61
    Read More
  9. 활동가의 언어

    어촌신활력증진사업 지죽도-죽도 어촌앵커조직 활동가 전혜인 고흥에 온 지 어느덧 한 달째. 이렇게 빨리 적응해도 되는 걸까 싶을 정도로, 어느새 ‘고며들었다’. 한 달 동안 몇 번이나 울었는지는 세어보지 않았지만, 수시로 흐르는 눈물을 닦는 일이 꽤나 버거웠다. 적응을 잘하고 있음에도 왜 울었냐고 묻는다면, 이 따뜻...
    Date2025.04.25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6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