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역자산화협동조합의 소통창구로서 발빠른 소식과 활동가 경험을 나눕니다.
활동가 이야기
2025.06.12 17:47

어촌에서의 삶, 한번 살아보시게요

조회 수 1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어촌에서의 삶, 한번 살아보시게요

 

 

고흥군 지죽도-죽도 어촌신활력증진사업 앵커조직

활동가 손용훈

 

 

어촌신활력증진사업 유형(2), 이 사업을 시작한 지도 벌써 1년이 넘었다. 20245월 개소식을 기점으로 한 사이클을 돌았는데, 1년이 한 달처럼 느껴질 때도 있었고, 반대로 10년 같았던 순간도 있었다.

 

지죽도-죽도 같은 섬마을, 그것도 대한민국에서도 가장 외진 곳 중 하나에서 산다는 건 정말 매일매일 특별한 경험이다.

 

KakaoTalk_20250612_172008405.jpg

 

(참고로 파주에 있는 어머니를 뵈려면 차로 8시간 20분 걸린다  차라리 해외여행 가는게 더 가깝다.)

 

 

어촌에서 겪은 일들, 아무 순서 없이 적어본다

 

첫 번째:

전봇대가 넘어져 있었다. 김 양식 한다고 크레인을 몰던 청년회장이 전봇대를 박았고, 그날 하루 인터넷이 끊겨서 아무 일도 못 했다. 전봇대 하나에 하루가 통째로 멈춘다.

 

KakaoTalk_20250414_154327182_01.jpg

 

두 번째:

개인 휴무날 집에서 쉬고 있으면, “휴가인데 왜 안 나가냐는 말을 듣는다. 이어서 집 앞에 잡초 좀 나왔던데~” 하고 넌지시 알려주신다.

게으르단 말 듣기 싫어서 잡초를 매일매일 뽑는다. 그러다 보니 손 앵커는 참 부지런해라는 말도 듣게 됐다.

KakaoTalk_20250612_172613487.jpg

(비가 많이 오는 날 우리집 마당이 물에 잠겼다... 비가 많이 오면 잡초가 더.... 잘 ... 자란다.)

 

세 번째:

식당 가서 혼자 밥 먹으려고 하면 아는 사람을 마주칠 확률이 꽤 높다. 청년회 형들도 그래서 식당 잘 안 간다고 했다.

요즘 나도 식당 들어가기 전에 주차된 차부터 확인한다. 물론, 마주치면 맛있는 걸 자주 사주시긴 한다.

 

지죽청년회(5).JPG

(처음에 만났을때 너무... 무서웠다) 지금은 너무 좋다.

 

 

네 번째:

반찬이 너무 많다. 포화지방, 불포화지방, 각종 나물 등등. 12첩 반상은 이제 더 이상 놀랍지 않다.

 

KakaoTalk_20250612_172757294.jpg

(혼자가도 15첩은 뚝딱_ 요즘에는 2인 이상 백반을 시킬수가 있어서 혼자서도 백반을 먹을 수 있는 곳을 잘 찾아다녀야 한다) 그래도... 12,000원에 이렇게 푸짐한 한상이 나온다니

 

KakaoTalk_20250612_172757294_01.jpg

(집 앞에 있는 식당. 12,000원이면 생선, 국, 반찬까지. 고흥 진짜 최고!)

 

다섯번째:

도선이랑 선외기를 자주 탄다. 일주일에 한 번은 배를 타는 듯. 도시 촌놈인 나는 탈 때마다 여전히 신기하다.

 KakaoTalk_20250611_173552934_02.jpg

(죽도 선용수 선장님 선외기에서 한컷)

 

여섯 번째:

계절마다 다른 해산물을 먹는다. 여름엔 갯장어, 겨울엔 김, 봄엔 갑오징어. 주민 어르신들이 챙겨주신다.

처음엔 뭘 어떻게 먹어야 할지 몰랐는데, 이제는 슬슬 해산물의 매력을 알아가는 중. 불포화지방 만세!

 

KakaoTalk_20250527_102107895_19.jpg

(이렇게 많은 문어는 처음 본다)

KakaoTalk_20250428_142055317_02.jpg

(매년 봄이오면 갑오징어를 엄청 많이 주신다)

 

일곱 번째:

저녁이 있는 삶을 산다. 밤이 되면 불빛도 드물고, 개 짖는 소리만 간간이 들린다.

조용히 음악을 듣거나 산책할 땐 노이즈캔슬링 이어폰이 전혀 필요 없다.

 

2.jpg

(선착장이 어두워서 태양광 센서등을 설치하러 왔다)

5.jpg

(작은 불빛이 이렇게나 밝다)

 

여덟 번째:

1년 정도 살다 보니, 못 보던 차가 지나가면 나도 모르게 쳐다보게 된다.

도시 촌놈이 오면 티가 난다. 확실히 난다.

 

1.JPG

(우리 마을을 찍고 싶어서 방송국에서 계속 오신다. 우리 마을이 좋긴 좋아)

 

아홉 번째:

10시면 졸리고, 아침 6시면 눈이 저절로 떠진다. 공기도 좋고, 먹는 것도 좋아서 몸이 건강해지는 걸 체감한다.

심지어 불포화 고단백 식단이니까이러다 130살까지 사는 거 아닌가 싶다.

 

KakaoTalk_20250507_131339161_04.jpg

 

마지막 열 번째:

새로운 세상을 만났다. 해외에서 10년 넘게 살면서도 못 느꼈던 것들이다.

이곳에는 이곳만의 룰이 있다. 그걸 무시하고 내가 옳다고 우기면 잘될 것도 안 된다.

현장 활동가는 단순히 현장의 일만 하는 게 아니라, 마을 구성원이자 가족이고, 필요한 일꾼이다. 현장에서 배우고, 실수하고, 성장하는 여러 과정이 바로 이 일이 가진 매력이다.

몇 가지 쓰다 보니 열 가지를 채우고 싶어서 막 적었다.

 

KakaoTalk_20250530_150801129_12.jpg

(해양쓰레기 정화활동중에 한컷) 해양오염이 정말로 심각하다

 

어촌마을에서의 삶이 궁금하다면, 언제든 도전해볼 기회는 있다.

어디서든 내가 필요한 사람이 되고, 하나의 구성원으로 살아간다는 것그게 어촌살이의 진짜 매력이다.

 

어촌에서의 삶, 한번 살아보시게요.

 
 
?

  1. 꽃 섬, 하화의 봄

    꽃 섬, 하화의 봄 지역자산화협동조합 대표 남철관 때 이른 6월 더위가 익숙해 질만도 하건만 여전히 스쳐 지나간 짧았던 봄이 그리워집니다. 여수의 하화도에서 만났던 봄꽃이 생각나 더 그런가 봅니다. 하화는 걸어서 두세시간이면 돌아볼 수 있는 작은 섬입니다. 하지만 이름모를 풀과 돌 틈에 숨어있듯 피어 있는 꽃이 ...
    Date2025.06.13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5
    Read More
  2. 어촌에서의 삶, 한번 살아보시게요

    어촌에서의 삶, 한번 살아보시게요 고흥군 지죽도-죽도 어촌신활력증진사업 앵커조직 활동가 손용훈 어촌신활력증진사업 유형(2), 이 사업을 시작한 지도 벌써 1년이 넘었다. 2024년 5월 개소식을 기점으로 한 사이클을 돌았는데, 1년이 한 달처럼 느껴질 때도 있었고, 반대로 10년 같았던 순간도 있었다. 지죽도-죽도 같은 ...
    Date2025.06.12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16
    Read More
  3. 삶의 재배치, 고흥에서

    삶의 재배치, 고흥에서 어촌신활력증진사업 지죽도-죽도 어촌앵커조직 활동가 정희영 경계를 오가는 생활을 두 달째 하고 있다. 서울과 고흥. 고흥 안에서도 읍과 섬 사이. 서울에서 나고 자란 나는 지금 전라남도 고흥에서, 그것도 섬으로 향하는 길목에서 살고 있다. 섬으로 향하되 머무는 곳은 읍내, 마치 도시에 기대고 ...
    Date2025.05.30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20
    Read More
  4. 로컬의 날씨와 언어

    본격적인 어촌살이가 막 1년을 지났다. 운전을 하게 되고, 텃밭이 있는 마당이 생겼고, 토끼와 강아지를 키우게 되었으며, 계절에 따라 먹거리와 놀거리를 찾게 되었다는 점 등 돌이켜보면 많은 것이 달라졌지만, 그중 가장 큰 변화는 매일 아침 습관적으로 날씨를 검색하며 하루를 시작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바람의 세기와...
    Date2025.05.26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16
    Read More
  5. 효율적 업무 체계 구축을 위한 , 챗GPT 실전 활용 교육 후기

    지역자산화협동조합 활동가 안은성 1회차 수업: 챗GPT, 어렵지 않네? 2회에 걸친 챗GPT 교육은 지역자산화협동조합의 이사님이신 김철환 소장님(적정마케팅연구소)이 진행해주셨습니다. 3시간 동안 진행된 교육은 딱딱한 이론이 아니라, 직접 써보고 바로 느끼는 실습형 수업이었어요. ChatGPT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사람이 ...
    Date2025.04.28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11
    Read More
  6. 활동가의 언어

    어촌신활력증진사업 지죽도-죽도 어촌앵커조직 활동가 전혜인 고흥에 온 지 어느덧 한 달째. 이렇게 빨리 적응해도 되는 걸까 싶을 정도로, 어느새 ‘고며들었다’. 한 달 동안 몇 번이나 울었는지는 세어보지 않았지만, 수시로 흐르는 눈물을 닦는 일이 꽤나 버거웠다. 적응을 잘하고 있음에도 왜 울었냐고 묻는다면, 이 따뜻...
    Date2025.04.25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15
    Read More
  7. 천천히, 마을과 나 사이에 놓인 시간을 걷는 중입니다.

    어촌신활력증진사업 취도금사항 어촌앵커조직 활동가 송마리아 시작은 바다를 향한 마음에서 ‘바다 근처에서 살고 싶다’는 단순한 바람이 내 삶을 이끌었다. 도시의 숨 가쁜 리듬을 벗어나 시골 라이프의 여유를 누리고 싶었다. 그렇게 나는 취도–금사항 어촌앵커조직에 들어오게 되었고, 마을로 이주하게 되었다. 사진 출처...
    Date2025.04.24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11
    Read More
  8. 2025년 정기총회 후기

    2025년 지역자산화협동조합 정기총회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번 정기총회는 온라인으로 총회에 참석해주신 조합원분들도 계셔서 실시간으로 채팅창을 활용하여 총회를 진행하였습니다. 정기총회 이모저모 이번 정기총회에서는 일터로서 과업을 수행하는 것뿐 아니라 삶의 터전으로 일구어갈 수 있는 방안과 비전을 나누기도 했...
    Date2025.04.01 By관리자 Views38
    Read More
  9. 지역자산화협동조합, 섬에 대한 고민을 더합니다.

    지역자산화협동조합, 섬에 대한 고민을 더합니다. 따뜻한 바람이 시작될 참입니다. 지역자산화협동조합은 새로운 사업을 발굴하기 위해 서해와 남해의 섬들을 다녀왔습니다. 태안과 보령 그리고 군산의 서해 섬들, 여수 인근의 남해 섬들을 돌아봤습니다. 같은 듯 다른 바다의 풍경과 그 속에서 살아가는 주민들의 삶을 들여...
    Date2025.02.27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10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