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역자산화협동조합의 다양한 활동과 현장의 소식을 전합니다.
조회 수 2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하화도에서 배우는 지속가능한 섬 마을 만들기 – 선진지 견학 이야기

 

하화도 주민들이 2박 3일간 지역 활성화와 어촌재생, 주민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길을 나섰습니다.
목표는 명확했습니다.

  • 농산물 가공·유통·관광 연계를 통한 소득사업 모델 찾기

  • 민간정원 가꾸기를 통한 지속 가능한 섬 경영

  • 우리 마을에 적용할 수 있는 전략과 아이디어 벤치마킹

이번 여정은 남해, 순천, 고흥을 잇는 로컬 비즈니스의 현장을 직접 보고 배우는 귀중한 시간이었습니다.

 

 

00.jpg

[사진1.  남해 섬이정원, 다랭이 마을과 독일마을 등 남해 마을 현장탐방 ]

 

1일차 – 남해 섬이정원 & 주민협의체 발족

첫 행선지는 경남 남해의 ‘섬이정원’.
이곳은 주민들이 직접 조성·관리하는 민간정원으로, 정원 경영을 통해 입장료, 해설 프로그램, 체험 활동 등 다양한 수익을 창출합니다.
단순히 ‘꽃이 예쁜 섬’이 아니라, 스토리텔링과 주민참여를 결합한 경영 모델이 돋보였습니다.

이어 방문한 다랭이 마을에서 경관농업의 중요성을 배우고, 남해 독일마을에서는 이국적인 경관과 마을 축제 운영 방식을 살펴보며 관광자원의 잠재력을 체감했습니다.

 

IMG_3509.JPEG

[사진2.  여수시 하화도 섬지역특성화사업 주민협의체 발족식 ]

 

2일차 – 순천 고들빼기 영농조합 & 고흥 쑥섬

둘째 날, 우리는 순천 별량면의 고들빼기 영농조합을 찾았습니다.
이곳은 고들빼기를 지역 대표 특산물로 키워 김치·장아찌뿐 아니라 비타민, 화장품, 샴푸, 폼클렌징 등 20여 종의 가공품을 개발·판매하고 있었습니다.
농가가 생산한 원물을 마을 영농법인이 매입·가공해 유통하는 구조, 체험 프로그램과 숙박 운영까지 결합한 다각적 소득사업 모델은 하화도의 미래 구상에 큰 영감을 주었습니다.

 

IMG_3581.JPEG

[사진3.  순천 고들빼기 영농조합 사례 강의]

 

오후에는 고흥의 섬정원 쑥섬 으로 향했습니다.
여기서 만난 주민들은 “화려한 인위적 조성보다, 섬 고유의 자연을 잘 보존하고 가꾸는 것이 경쟁력”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기존 수목과 야생화를 활용해 사계절 매력을 유지하고, 중간중간 ‘사진 명소’를 만들면 관광객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는 점도 인상적이었습니다.

 

 

IMG_3669.JPEG

[사진4. 민간정원 1호 쑥섬 현장 투어 사례 강의]

 

3일차 – 농업회사법인 ㈜담우

마지막 날, 하화도 주민들은 고흥의 농업회사법인 ㈜담우를 찾았습니다.
㈜담우는 전남 고흥군에 위치한 농산물 가공 사회적기업입니다.

지역에서 자란 취나물·시금치 같은 로컬 농산물을 활용해 쉐이크, 스낵 등 기능성 가공식품을 개발하고 유통판매 하고 있습니다.
6차 산업 기반의 고부가가치 상품 개발, 지역 농가와의 협업, 안정적 판로 확보 전략까지 현장에서 생생히 들을 수 있었습니다.
주민들은 “희망이 보인다”는 소감을 나누며, 부추 성분 분석과 가루 가공 등 구체적인 다음 단계를 논의했습니다.

 

2.jpg

[사진5. 지역특산물을 활용한 기능성 가공제품 개발 사례 강의]

 

하화도에 주는 시사점

이번 선진지 견학은 단순한 관광이 아니라, 섬이 지속가능하게 살아남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그려보는 과정이었습니다.

  • 가공·유통의 선순환 구조 : 고들빼기 영농조합처럼 특산물 재배부터 가공·판매까지 마을 단위에서 완결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 주민참여형 관광자원화 : 섬이정원·쑥섬 사례처럼 주민이 직접 기획·운영하는 관광·체험 프로그램 확대

  • 로컬 브랜드와 협업 : ㈜담우와 같은 전문 가공기업과의 연계로 제품 경쟁력 강화

  • 공동체 거버넌스 : 주민협의체를 통한 의사결정 구조 마련과 장기 비전 공유

1.jpg

[사진6. 사회적기업 담우 가공유통 시설 현장 견학후 단체사진]

 

하화도의 미래는 주민 스스로 설계하고, 실행하고, 함께 즐기는 과정 속에서 완성될 것입니다.
이번 여정이 그 출발점이 되었습니다.

?

  1. 가의도 섬 특성화사업, 마늘로 새로운 길을 열다

    Date2025.08.22 Category지역활성화-어촌신활력,섬특성화 By관리자 Views2
    Read More
  2. [사회혁신] 🌊 갯장어 샤브샤브 레시피 개발단🐟 : 준비편

    Date2025.08.18 Category지역활성화-어촌신활력,섬특성화 By관리자 Views15
    Read More
  3. 🌿 하화도에서 배우는 지속가능한 섬 마을 만들기 – 선진지 견학 이야기

    Date2025.08.13 Category지역활성화-어촌신활력,섬특성화 By관리자 Views20
    Read More
  4. 어촌신활력증진사업 지죽도-죽도 권역 '죽죽이 마을소식지' 5호 발행

    Date2025.08.12 Category지역활성화-어촌신활력,섬특성화 By관리자 Views10
    Read More
  5. [가의도 중간보고회] 마을소득을 위한 균형 전략 찾기

    Date2025.07.21 Category지역활성화-어촌신활력,섬특성화 By관리자 Views13
    Read More
  6. [링커발굴] 🌊 20억년 파도클럽: 어촌 자원을 실험하다

    Date2025.07.06 Category지역활성화-어촌신활력,섬특성화 By관리자 Views28
    Read More
  7. 태안 육쪽마늘의 원산지, 가의도

    Date2025.06.25 Category지역활성화-어촌신활력,섬특성화 By관리자 Views18
    Read More
  8. 어촌신활력증진사업 지죽도-죽도 권역 '죽죽이 마을소식지' 4호 발행

    Date2025.06.23 Category지역활성화-어촌신활력,섬특성화 By관리자 Views40
    Read More
  9. [섬특성화] 꽃섬 하화도, 두 발로 기록한 섬의 오늘 – 지역자원조사 2박3일 후기

    Date2025.06.12 Category지역활성화-어촌신활력,섬특성화 By관리자 Views1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