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역자산화협동조합의 다양한 활동과 현장의 소식을 전합니다.
지역활성화-어촌신활력,섬특성화
2025.08.18 10:32

[사회혁신] 🌊 갯장어 샤브샤브 레시피 개발단🐟 : 준비편

조회 수 1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어촌신활력증진사업

지죽도죽도 어촌앵커조직

안녕하세요, 죽죽이 입니다 :)

갯장어 샤브샤브 밀키트 준비편

“우리 마을의 바다에는 다양한 해산물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여름철 별미로 손꼽히는 갯장어는, 아직 많은 분들이 샤브샤브로 즐기지는 않는데요!

이번 사회혁신 프로그램은 우리 마을의 자원인 갯장어를 많은 분들이 즐길 수 있도록 갯장어를 활용한 레시피를 고민하고,

밀키트라는 형태로 상품화를 시도하며, 마을 자원의 가치를 확장해보는 것이 목적이었습니다.

‘갯장어가 바다에서부터 식탁에 오르기까지’라는 여정을 기록하며, 마을 주민들과 함께 갯장어 샤브샤브 밀키트를 개발 과정을 함께 보실까요?


 

 

1. 어촌계장님과의 만남, 든든한 조력자

image.png

어촌계장님과 밀키트 회의 중

 

고민이 많을수록 꼭 필요한 순간에 구세주처럼 나타나는 분이 계십니다. 바로 우리 어촌계장님이셨습니다.

계장님은 평소에도 마을 일에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시지만, 특히 이번 갯장어 샤브샤브 밀키트 개발은 계장님의 ‘전문 분야’였습니다.

그만큼 칼 솜씨가 뛰어나셨거든요.

 

image.png

 

어촌계장님이 직접 손질하고 담아 본 초기 형태

게다가 조언도 아끼지 않으셨습니다. 판매보다는 먼저 마을 주민들과 함께 레시피를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마을 법인의 길을 차근차근 다져가자는 의견이었지요. 결국 그 방향이 가장 맞다고 판단하여 실행에 옮기게 되었습니다.

빠른 행동력 덕분에 레시피와 구성을 단단히 잡을 수 있었습니다.

여수 하면 갯장어를 떠올리지만, 사실 고흥에서도 많은 양의 갯장어가 잡힙니다. 이 점을 살려 우리는 ‘고흥 에디션’이라는 이름을 붙였고, 고흥산 갯장어로 만든 샤브샤브 밀키트 시제품을 만들기로 했습니다.


 

2. 포장재와 띠지 제작 과정

image.png

어떤 포장지를 하면 좋을 지 어촌계장님과 개발위원님과 회의 중

식당을 운영해본 적도 없고, 생물을 밀키트로 구성하는 일은 더더욱 처음이었습니다. 그래서 포장과 디자인은 더 큰 고민거리였습니다.

어떻게 하면 안전하고, 또 보기에도 좋은 포장재를 만들 수 있을까 머리를 맞대고 회의를 여러 번 했습니다.

어촌계장님과 용량, 재질, 위생성까지 꼼꼼하게 검토한 끝에 결국 우리만의 밀키트 포장과 띠지를 완성할 수 있었습니다.

image.png

꼼꼼한 검수 끝에 만들어진 띠지

 

 

 


 

 

3. 레시피 개발단 모집 과정

image.png

 

우리는 마을 입구에 플래카드를 걸고, 노인회관과 팔각정을 다니며 어르신들께 직접 홍보를 드렸습니다.

단순히 참여 요청이 아니라 ‘레시피 개발단’ 위촉장까지 준비해 함께 만들어가는 의미를 담았습니다.

image.png

그 과정에서 마을 어르신들이 들려주신 이야기는 큰 힘이 되었습니다.

“우리 마을엔 장어 킬러가 있다”면서 혼자서 몇 킬로그램도 먹을 수 있다는 분을 추천해 주시기도 하고,

예전에 일본으로 갯장어를 수출하던 이야기도 해주셨습니다.

image.png

 

 

특히 어촌계장님 어머님께서는 한여름 더위에도 직접 육수를 푹 고와 맛을 보여주시며 비법을 알려주셨습니다.

그 정성이 없었다면 어쩌나 싶을 만큼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image.png

뽀얗게 우러나온 육수를 육수파우치에 담습니다

image.png

 

완성된 육수


 

4. 발골단의 탄생

갯장어를 잡고 손질하는 일까지 모두 마을에서 이뤄져야 했기 때문에, 함께해 주실 분들을 찾는 과정이 쉽지는 않았습니다. 30여 명의 레시피 개발단과 품평회를 하려면 많은 양의 장어를 손질해야 했기에, 발골단의 역할은 무엇보다 중요했습니다.

image.png

다행히 소장님의 섭외 덕분에 5명의 ‘갯장어 발골단’을 구성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지호마을의 시인으로 불리우는 양종남 어르신께서는 발골 기술뿐만 아니라, 장어와 함께한 마을의 역사까지 풀어내 주셔서 준비 과정이 더 의미 깊어졌습니다.


이렇게 많은 분들의 손과 마음이 모여 준비된 갯장어 샤브샤브 밀키트. 앞으로 진행될 품평회가 더 기대되지 않으신가요?

#어촌신활력증진사업 #지역자산화협동조합 #지죽도_죽도앵커조직 #어촌프로젝트

#갯장어 #하모샤브샤브 #수산물밀키트 #주민참여프로젝트 #로컬푸드 #지속가능한마을

?

  1. 가의도 섬 특성화사업, 마늘로 새로운 길을 열다

    Date2025.08.22 Category지역활성화-어촌신활력,섬특성화 By관리자 Views2
    Read More
  2. [사회혁신] 🌊 갯장어 샤브샤브 레시피 개발단🐟 : 준비편

    Date2025.08.18 Category지역활성화-어촌신활력,섬특성화 By관리자 Views15
    Read More
  3. 🌿 하화도에서 배우는 지속가능한 섬 마을 만들기 – 선진지 견학 이야기

    Date2025.08.13 Category지역활성화-어촌신활력,섬특성화 By관리자 Views20
    Read More
  4. 어촌신활력증진사업 지죽도-죽도 권역 '죽죽이 마을소식지' 5호 발행

    Date2025.08.12 Category지역활성화-어촌신활력,섬특성화 By관리자 Views10
    Read More
  5. [가의도 중간보고회] 마을소득을 위한 균형 전략 찾기

    Date2025.07.21 Category지역활성화-어촌신활력,섬특성화 By관리자 Views13
    Read More
  6. [링커발굴] 🌊 20억년 파도클럽: 어촌 자원을 실험하다

    Date2025.07.06 Category지역활성화-어촌신활력,섬특성화 By관리자 Views28
    Read More
  7. 태안 육쪽마늘의 원산지, 가의도

    Date2025.06.25 Category지역활성화-어촌신활력,섬특성화 By관리자 Views18
    Read More
  8. 어촌신활력증진사업 지죽도-죽도 권역 '죽죽이 마을소식지' 4호 발행

    Date2025.06.23 Category지역활성화-어촌신활력,섬특성화 By관리자 Views40
    Read More
  9. [섬특성화] 꽃섬 하화도, 두 발로 기록한 섬의 오늘 – 지역자원조사 2박3일 후기

    Date2025.06.12 Category지역활성화-어촌신활력,섬특성화 By관리자 Views1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