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자산화협동조합의 소통창구로서 발빠른 소식과 활동가 경험을 나눕니다.
-
‘지역’자산화, ‘시민’자산화... 비슷한 용어가 너무 많아요.
자산화를 고민하는 분들과 만나면 이 질문도 자주 듣게 되는데요. ‘지역’자산화는 지역조직이나 지역사회가 같이 참여하는 자산화냐? ‘시민’자산화는 거주자 등 생활권자가 같이 출자해서 주민이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사업을 의미하냐? 등이 대표적인 궁금증입니다. 사실 지역자산화, 시민자산화 모두 학술적이거나... -
2022년 제1차 지역자산화협동조합 총회 공고
안녕하세요 조합원 여러분들 지역자산화협동조합에서는 아래와 같이 정기총회를 개최하오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부득이하게 참석이 어려우신 분은 첨부되어 있는 위임장 약식을 다운 받으시어 작성 후 아래 메일로 전송 부탁드립니다. 위임장 보내실 곳: bridgecp1365@gmail.com 문의: 02-6949-1365 -
[아파트 공화국] 왜 지금 다시 아파트인가?
안녕하세요 ~ 지역자산화협동조합의 송이 매니저입니다. 매니저로 입사한 지 벌써 7개월이 넘었는데요, 저의 생각이 담긴 글로는 처음 인사드리네요. 처음엔 모든 것이 낯설었는데 벌써 저의 관심사가 담긴 글을 쓰게 되다니 감회가 새롭습니다. 저는 서울에서 태어나 26살에 남양주로 이사 오기 전까지는 인생의 대부분을 ... -
[자산화 사례] 폐쇄될뻔했는데… ‘커뮤니티 수도원’으로 부활?
[자산화 사례] 폐쇄될뻔했는데… ‘커뮤니티 수도원’으로 부활? 우리 조합에서 자산화, 셰어, 소셜공간 조성… 등등의 일을 기획하고 실행하다보니 불현듯, 생각나는 머나먼 현장이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세상이 멈춘지도 어느새 2년이 훌쩍 지나가고 있는데요. 다행히 그 전에 기회가 있어 다녀왔던 지구 건너편 영국 땅의 한 ... -
금천, 마을에서 공간을 공유하다.
금천, 마을에서 공간을 공유하다. N개의 테이블 : 시민 자산화-공간을 중심으로 금천은 다양한 풀뿔리활동이 이루어지는 지역입니다. 비교적 작은 자치구이지만 민간조직들은 서로의 지혜를 나누고 과제를 해결하면서 같이 성장해 왔습니다. 이런 금천에서 이제 시민자산화의 고민이 시작되고 있습니다. 아니 현실화를 앞두... -
우리, 광진구에서 살 수 있을까?
우리, 광진구에서 살 수 있을까? 광진 민주주의공론장에서 청년를 위한 내일의 주거공간을 꿈꾸다. 10월이 깊어가는 밤, 광진의 예쁜 작은도서관에서 청년, 자활참여자, 주거약자를 위해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활동가들이 삼삼오오 모였습니다. 광진에서 거의 1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민주주의 공론장이 열린 날로 이 날 주... -
지역자산화협동조합이 국토부 예비사회적기업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지역자산화협동조합이 국토부 예비사회적기업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앞으로 더욱 더 힘차게 앞으로 나아가겠습니다. -
"지역주민이 부동산을 소유해야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이 이뤄집니다"
https://www.ytn.co.kr/_ln/0103_202110051647419374 ■ 방송 : YTN 라디오 FM 94.5 (13:00~14:00) ■ 진행 : 김혜민 PD ■ 방송일 : 2021년 10월 5일 (화요일) ■ 대담 : 임효묵 빌드 대표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지역주민이 부동산을 소... -
[지역자산화 이야기] 지역자산화가 너무 어려워요. 자산화의 개념이 선뜻 와닿지 않아요?
지역자산화가 너무 어려워요. 자산화의 개념이 선뜻 와닿지 않아요? 주민들이 만든 자생적인 조직 뿐 아니라 민간조직 활동가나 사회적경제기업가와 자산화를 주제로 대화를 하다보면 이런 이야기를 많이 듣게 됩니다. 저도 처음 문헌을 통해 자산화, 공익신탁 등의 접했을 때 흥미가 느껴졌지만 아직 한국에서는 시기상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