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역자산화협동조합의 소통창구로서 발빠른 소식과 활동가 경험을 나눕니다.
  1. [신청마감] 교육프로그램, 자산화 아카데미 '풀코스' 교육

    [필독]신청마감: 아래 교육은 참여인원 초과로 마감되었음을 알립니다.
    Date2022.08.09 Category공지 By관리자 Views1968
    Read More
  2. 사무실 이전하였습니다

    우리 조합 사무국이 5월부로 새로운 곳으로 이전하였습니다. 새로운 마음으로 이어서 길을 걷겠습니다^^(편하게 들르거나 연락주세요~) - 주소: 서울 성북구 보문로 152 윤홍빌딩 4층 (아래 이미지는 날으는자동차 만렙스퀘어 홈피에서 퍼옴)
    Date2022.05.02 Category공지 By관리자 Views183
    Read More
  3. 민간소유의 도시재생 앵커시설 ; 상상에서 현실화로

    민간소유의 도시재생 앵커시설 ; 상상에서 현실화로 남철관 (지역자산화협동조합) 도시재생 뉴딜사업으로 대표되는 다양한 지역활성화 사업이 전국에서 펼쳐지고 있다. 도시(뉴딜, 지역형재생사업 등),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 등), 어촌(어촌뉴딜 등), 취약지역(새뜰마을사업) 전역의 노후화된 주거지, 시장, 상업지, 지역거...
    Date2022.04.21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280
    Read More
  4. [활동 단상] 50+, 그리고 Alternative Assets

    따사로운 봄날에 인사드립니다. 사무국에서 일하는 이웃주민입니다^^ 홈피 ‘활동가 이야기’ 글 톤의 다채로움을 위해, 부드러운(?) 에세이식으로 써봤어요. 요즘 일터에서, 집에서 TV를 보며 등등 몇가지 경험을 통해 머릿속에 맴돈 상념을 나누고파 편한 글로 전해봅니다~ #1 50+ ‘야자타임’ 느낌이 들었다. 평소대로라면 ...
    Date2022.04.08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230
    Read More
  5. 자산화의 범주 - 상상력의 확장

    국내에서 가장 많이 시도된 자산화의 유형은 아마도 복수의 민간조직이 업무공간을 소유하는 시도일 것이다. 오랜 시간 지역사회에 뿌리내리고 활동이나 사업을 영위해 온 비영리 조직, 사회적경제 조직들이 임차공간의 불안정성과 부동산 가격의 폭등을 이겨내고 대안을 모색해 온 과정과 결과가 대표적인 유형으로 자리를 ...
    Date2022.03.25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178
    Read More
  6. 재단법인 동천의 2022년 공익인권단체 프로그램(연구/활동) 지원 사업에 선정되었습니다.

    여러분 안녕하세요~ 이제 완연한 봄이 시작되었네요. 봄과 함께 좋은 소식을 가지고 왔습니다 ~ 지역자산화협동조합이 재단법인 동천의 2022년 공익인권단체 프로그램(연구/활동)에 선정되었습니다! 저희는 보호종료아동(자립준비청년)의 주거 보금자리로서의 사회주택 연계 운영방안에 대해서 연구를 진행 할 계획인데요, 1...
    Date2022.03.23 Category공지 By관리자 Views144
    Read More
  7. 22년도 제1회 정기총회 공유합니다.

    여러분 안녕하세요 ~ 지역자산화협동조합입니다. 22년도 제1회 정기총회가 지난주 2월 28일(월)에 줌으로 열렸습니다. 다들 바쁘신 시간에 그것도 월요일에 열정적으로 참여해주셔서 정말 감사했습니다. 이번 총회는 전차회의록 보고와 2021년도 사업결과와 2022년도 계획에 대해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아쉽게도 뵙지...
    Date2022.03.07 Category공지 By관리자 Views159
    Read More
  8. 아파트 공화국의 역사 - 1950년대를 중심으로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1950년대 서울의 도시경관과 그 특징 그리고 서울에서 처음으로 지어진 아파트에 관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1950년대는 한국은 아직 나지막한 스카이라인, 상가와 주거지역의 구분 그리고 대로와 그 뒤편의 보행자 골목으로 구분되는 도로 형태라는 세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19세기 ...
    Date2022.03.04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416
    Read More
  9. 사근도시재생지원센터의 경험으로 비춰본 서울시 2세대 도시재생사업의 그림자

    사근도시재생지원센터의 경험으로 비춰본 서울시 2세대 도시재생사업의 그림자 버들(류민수 코디네이터) 서울시 뉴타운의 출구전략으로 도시재생이 호명됐다는 사실이 무색해질 정도로 도시재생의 기조가 많이 바뀌었다. 이제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은 실질적 주거정비수단으로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시재생활...
    Date2022.02.25 Category활동가 이야기 By관리자 Views19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